광서 (연호)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광서(光緖)는 1875년부터 1908년까지 사용된 청나라의 연호이다. 1875년 1월 16일에 연호를 제정하고, 다음 해 2월 6일에 개원하였다. 이 기간 동안 청나라는 친정, 청일 전쟁, 변법자강 운동 실패 등의 사건을 겪었다. 또한, 이 연호는 조선과 대한제국 시기에도 사용되었으며, 동학 농민 운동, 을미사변, 아관파천, 대한제국 선포 등 조선과 대한제국 역사에 중요한 사건들과 관련이 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광서 (연호) | |
---|---|
광서 (光緖) | |
연호 | 광서(光緖) |
사용 기간 | 1875년 ~ 1908년 |
국가 | 청나라(淸) |
군주 | 덕종 광서제 재첨 |
설명 | 청 광서제 시기에 위치함 |
다국어 표기 | |
한글 | 광서 |
한자 | 光緖 |
중국어 | 光绪 |
한어병음 | GuāngXù (꽝쉬) |
일본어 | 光緒 |
가나 | 코우쇼(고쇼), 코우초(고초) |
베트남어 | Quang Tự (꽝뜨) |
몽골어 | Бадаргуулт төр (바다르굴투 토로) |
몽골 문자 | ᠪᠠᠳᠠᠷᠠᠭᠤᠯᠲᠤ ᠲᠥᠷᠥ (Badarɣultu Törö) |
만주어 | ᠪᠠᡩ᠋ᠠᡵᠠᠩᡤᠠ ᡩᠣᡵᠣ (Badarangga doro) |
2. 연호 제정
동치 13년(1875년) 1월 16일에 연호를 '''광서'''(光緖)로 정하고, 다음 해 2월 6일에 개원하였다.[1][2][3][4][5]
광서 15년(1889년) 광서제의 친정이 시작되었다.[1] 광서 20년(1894년) 청일 전쟁이 발발하였고,[2] 이듬해인 광서 21년(1895년)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되었다.[3] 광서 24년(1898년) 변법자강 운동이 실패하고 서태후가 황제를 유폐하였다.[4]
광서 34년(1908년) 11월 18일에 연호를 선통으로 정하고, 다음 해 1909년 1월 22일에 개원하였다.[6][7][8][9][5]
3. 주요 사건
3. 1. 청나라
1889년 (광서 15년): 광서제의 친정이 시작되었다.[1]
1894년 (광서 20년): 청일 전쟁이 발발하였다.[2]
1895년 (광서 21년): 청일 전쟁이 종결되고,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되었다.[3]
1898년 (광서 24년): 변법자강 운동이 실패로 돌아가고 서태후가 황제를 유폐하고 폐립을 기획하였다.[4]
4. 연대 대조표
대한제국 연호
광무 원년
융희 원년